Surprise Me!

[팩트맨]15분 대화로 감염…마스크 써도 소용없다?

2020-04-16 8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사실만 짚어드리는 팩트맨입니다. <br> <br>닷새전 경기 포천시에서 사전투표 직후 길거리에서 마주친 동네 주민과 15분간 대화를 한 60대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 <br> <br>먼저 확진 판정을 받은 동네 주민, 60대 여성 모두 마스크를 쓰고 있었다고 알려지며 마스크를 써도 소용 없는건지 논란인데 팩트맨이 감염 경로부터 하나하나 추적해봤습니다. <br><br>먼저 마스크를 껴도 100%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. <br> <br>비뚤어지게 쓴 마스크 틈새로 튀어나온 바이러스 침방울이 감염원이 될 수 있는데요. <br> <br>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"코로나19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침방울이 결막에 닿으면 눈과 콧속을 연결하는 비루관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"고 경고했습니다. <br><br>바이러스 침방울이 묻은 마스크 표면을 손으로 만져도 감염 가능성 있습니다. <br><br>미국 연구진은 야외에서 대화할 때 침방울이 어떻게 퍼지는지도 실험했는데요. <br> <br>재채기 보다 약한 잔기침에 섞인 침방울이 채 2m까진 아니더라도, 1m 가량 떨어진 사람의 얼굴과 몸에 묻는 건 충분하다는 사실도 입증했습니다. <br> <br>다만, 전문가들은 야외에서 마스크만 '제대로' 썼어도 감염 확률은 매우 낮다고 입을 모았는데, 이 60대 여성 운이 나빴던 걸까요? <br><br>팩트맨 취재 결과 밀접 접촉이 이뤄진 날이 더 있었습니다. <br> <br>15분 대화가 있었던 사전투표일보다 닷새 전 두 사람이 20분 정도 함께 마스크를 벗어둔 채 차를 마셨던 건데요. <br> <br>보건당국은 60대 여성의 증상 발현일로 볼 때 최초 감염이 이 때 있었을 가능성이 큰 걸로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[최원석 / 고려대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확진된 환자분이 있을 때 제일 중요한 보호구는 마스크가 맞습니다. 적절한 방법으로 착용하고 손 위생을 잘해야만 <br>의미를 갖게 됩니다." <br> <br>종합해보면, 코로나 19 감염 경로 다양하지만, 올바른 마스크 착용이 예방의 첫 단계라는 것 잊으면 안 되겠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사안 팩트맨에 제보부탁드립니다. 이상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연출·편집:황진선 PD <br>구성: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:임솔, 박소연 디자이너<br><br>

Buy Now on CodeCanyon